[앵커]<br />최근 총을 든 남성이 농협에서 돈을 빼앗아 달아났다가 붙잡히는 등 총기를 이용한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경찰은 총기 사건이 벌어진 때마다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지만 대부분 기존 방침의 재탕 수준에 불과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15년 3명이 숨진 세종시 엽총 난사사건이나 지난해 오패산 총격 사건까지.<br /><br />총기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경찰은 자진신고를 받고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등의 대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최근 경북 경산에서 총을 이용한 은행강도 사건이 터지자 이번에도 경찰은 이철성 청장까지 나서 자진신고 기간과 신고 보상금을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대부분 이미 발표했던 대책들을 이름만 조금 바꿔서 내놓은 재탕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[이웅혁 /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: (총기 관리의) 근본적인 틀이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는 같은 대안이 계속 반복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데 과연 그것이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가….]<br /><br />최근 5년 동안 총기 사고로 숨진 사람만 28명.<br /><br />매번 똑같은 경찰의 대책을 비웃기라도 하듯 관련 사건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살상 무기로까지 쓰이는 모의 총기에 대한 단속도 무기력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지난해 1월 총기나 폭발물의 제조법을 인터넷에 올리면 징역까지 처할 수 있도록 처벌을 대폭 강화했지만, 지금도 인터넷에서는 너무도 쉽게 총기나 폭발물 만드는 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법이 실행된 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인터넷을 따라 만든 사제 총에 경찰관 1명이 숨졌고, 실제 제조법을 올려 처벌받은 사람은 단 8명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여기다 언제나 범행에 쓰일 수 있는 무허가 총기는 규모조차 파악이 안 되고, 최근 3년 사이 사라진 총기만도 2천7백여 정에 달하는 상황.<br /><br />총기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비슷한 대책을 앵무새처럼 반복해온 경찰에 대한 비판과 함께, 더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권남기[kwonnk0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43022285162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